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프로그래밍 언어 기술 동향
- 객체 지향형 DB
- 백트래킹
- 메인 메모리 DB
- 멀티미디어DB
- 시간초과
- 프로그래밍 언어
- 정렬
- 온라인처리
- 개발프레임워크의 기술 동향
- 개발프레임워크
- c++
- sync_with_stdio(0)
- 객체관계형DB
- Backtracking
- 공간DB
- compare
- 클라우드기반 IDE
- TOPCIT
- BOJ
- 소프트웨어아키텍처 기술 동향
- Flutter
- boj 11659
- 소프트웨어 개발도구
- aws winscp
- compare구조체
- 계층형DB
- ANSI-SPARC
- vector unique erase
- 네트워크형DB
옐그's 코딩라이프
[TOPCIT][02] II. 데이터베이스 종류 이해 (1) (에센스 정리 요약) 본문
학습 목표
1. 유형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모델과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.
2. 객체관계 데이터베이스(ORDB)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
3. XML 문서를 이해하고 작성할 수 있다.
4.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.
핵심 키워드
- 계층형DB, 네트워크형DB, 관계형DB, 객체 지향형 DB, 객체관계형DB
- XML, 멀티미디어DB, 메인 메모리 DB, 임베디드DB, 공간DB, 컬럼형DB, 그래프DB
01 데이터베이스의 종류
DB의 발전과정
- 초창기 DB는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던 데이터구조를 확장한 계층형 DB와 네트워크형 DB로 시작됨
- 1970년대 DB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관계형 DB가 등장하게 됨
- 1990년대 사용자 정의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해 객체 지향 DB가 등장함
- 이후 관계형 + 객체 지향 = 객체 지향형 DB 등장해 현재까지 주로 사용됨
- 인터넷 환경 발전에 따른 XML DB
- 데이터 처리 필요에 따른 NoSQL
주요 DB 유형
1. 계층형 DB
- 데이터를 상하 종속적인 관계의 트리 형태로 계층적으로 저장하는 DB
- 데이터의 액세스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사용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
- 변화하는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적응이 쉽지 않다는 단점
2. 네트워크형 DB
- 트리 형태를 네트워크 형태로 확장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DB
- 레코드 사이에 다대다 관계를 유지하고 데이터의 연결을 위해 포인터를 사용함
3. 관계형 DB (RDB)
-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 기반한 DB
- 주요 상용 제품으로는 Oracle, SQL, Server, DB2, Informix 등이 있음
4. 객체 지향 DB (OODB)
- 등장 배경 : 새로운 데이터타입의 생성 및 기존 데이터타입의 확장이 불가능하고 멀티미디어 등의 비정형 복합 정보의 처리가 곤란함. 또한, 표준 질의어인 SQL이 값에 의해 데이터 관계를 표현하기 때문에 복합 객체 표현 시 상호 관련된 엔터티를 찾아 처리하기 어려움
- 객체 모델에 기반해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DB
- 주요 상용 제품 : ObjectStore. O2, Objectivity, Uni-SQL 등
02 객체관계 데이터베이스
객체관계 DB (ORDB)
- 등장배경: 새로운 고급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관계DB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객체지향형 DB는 기업 환경 사용에 한계
- 관계형 DB + 객체 지향 DB = 객체관계형 DB
- 주요 상용 제품 : Oracle9i, DB2 UDB, SQL Server 등
객체관계 DB 특징
- 사용자정의 데이터타입 지원
- 참조타입 지원
- 중첩된 테이블 지원
- 대단위 객체 지원
- 테이블 상속 관계 지원
'TOPC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OPCIT][02] I.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(에센스 정리 요약) (0) | 2023.03.28 |
---|---|
[TOPCIT][01] XIV. 소프트웨어 개발 동향 (에센스 정리 요약) (0) | 2023.03.27 |
[TOPCIT][01] XIII.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동향 (에센스 정리 요약) (0) | 2023.03.26 |
[TOPCIT][01] XII. 소프트웨어 유지관리 (에센스 정리 요약) (0) | 2023.02.26 |
[TOPCIT][01] XI.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(에센스 정리 요약) (0) | 2023.02.25 |